공부

국어임용 관련 책

나비girl 2017. 2. 2. 14:10


<교육론>

 우선 7차교육과정 해설서를 봐야 합니다.

7차교육과정 해설서는 국어교사들이 가르쳐야 할 것들이 실려 있습니다.

이것은 교과서와 직결되어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임용고사 문제가 만들어 집니다.

7차 교육과정 해설서를 우선 정독하세요. 2~3회 정도 이해하면서 읽으세요.

이 작업이 끝나면 교과서를 공부하세요.

그 중에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부분만 아마 7차 교육과정과 비슷할 것입니다.

교과서를 볼 때는 단원의 길잡이, 본문, 학습활동을 모두 봐야 합니다. 그 후에 국어교육학 개론서를 봐야 합니다.

이 책에는 최신 이론과 함께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서 나와 있습니다.

삼지원에서 나온 책 "국어교육학 개론"


<문학>

 먼저 기출문제를 분석하세요.(문법, 교과교 육론도 해당)

그 후에 문학작품을 공부해야 합니다.

문학은 분량이 많아서 혼자 하기 힘듭니다.

스터디 그룹을 조직해서 함께 해야합니다.

고등학교 문학 자습서(지학사, 한샘 등등),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문학사는 중요해요. 무조건 시험에 나오니깐.), 한국문학강의(길벗출판사),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김흥규 저). 작가론.작품론.등. 제일 중요한 것은 "문학개론"책을 보세요.

학습용어 개념사전


<문법>

 우선 중학교 책에 나와 있는 문법을 모두 정리합니다.

특히 교사용 지도서를 구해서 자세히 봐야 합니다.

그 후 고등학교 문법 자습서(탑 출판사, 고영근 남기심 저)를 정리하면서 보고, 나아가 학교 문법론(김광해 저), 표준국어문법론 (고영근 남기심 저)으로 중고등학교 문법의 문제점까지 공부해야 합니다.

요즘 문법은 탐구학습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어요.

김광해 책 '학교 문법론'을 참고하세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금  (0) 2017.02.02
친일 문인  (0) 2017.02.02
훈민정음  (0) 2016.06.22
우리나라 근대문학 작가들의 이야기를 해도 되나? 4  (0) 2016.06.03
우리나라 근대문학 작가들의 이야기를 해도 되나? 3  (0) 2016.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