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창제원리와 그 과학성>
1. 한글을 보는 관점
많은 관점이 존재하지만 문화적 측면에서 볼 때, 가장 명확하게 파악이 가능하다.
분야 | 관점 |
국어학계 | 의사소통의 도구 |
국문학계 | 작가의 심상을 전달하는 도구 |
한글서예계 | 한글의 선을 통해 아름다움을 창제하는 도구 |
디자인계 | 이미지 전달의 도구 |
출판계 | 한글 활자를 통해 생각과 느낌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도구 |
컴퓨터계 | 0과 1이라는 2진수로 배열된 코드 |
무용계 | 선과 율동과 음악을 통해 한글의 아름다움을 재현 |
2. 말과 문자와 문화의 관계
말과 문자를 통해 사상, 감정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하고 받음
| 전달자 1인 : 수신자 1인 | 전달자 1인 : 수신자 다중 | |
공간적 제약 극복 | 시간적 제약 극복 | ||
말 | 확성기, 전화기 | 녹음기 | 라디오 |
문자 | 팩스 | 제약 없음 | 신문, 잡지 |
말, 문자, 동영상 (멀티미디어 방식) | 컴퓨터 | TV | |
휴대전화 |
3.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문자생활
① 구두점 : 편하게 읽기 위해서 표시. 점을 찍어 문장, 구, 절을 구분.
② 순독구결 : 구두점을 찍을 수 있는 위치에 우리말 조사, 어미를 끼워 넣어 해독을 편하게 함.
③ 자토석독구결 : 한문구의 좌우에 붓으로 쓴 구결.
▷ 점토석독구결 : 한자의 □ 안팎에 나무, 상아 등으로 끝을 뾰족하게 하여 종이에 눌러 자국을 내는 방식으로 표기한 구결.
▷ 이두 : 국어 어순과 한문 어순을 혼용하여 사용하면서 어미류나 투어 등을 한자의 뜻과 음을 이용하여 사용
cf) 중국어순 → 한국어순 : ex. 임신서기석
▷ 향가(향찰) : 차자 표기 방식은 읽기 위해서는 구결을 쓰기 위해서는 이두나 향찰 등을 사용하였는데, 이와 같은 불편한 점을 일거에 해소한 것이 훈민정음이다.
4. 훈민정음의 의미
① 독창성
② 역사성
1443년 훈민정음 창제 - 문자 이전
1446년 훈민정음이란 문자를 설명한 책이 완성 - 문헌 이름
훈민정음 해례본 (국호 70호), 훈민정음 언해본
'훈민' : 임금만이 사용할 수 있는 어휘. 세종이 집접 창제하였음을 암시.
cf) 훈 - 가르치다(아랫사람) / 교 - 가르치다(윗사람)
5.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훈민정음 해례본 : 정인지 발문(서문 x)
한글 기본 자모음 상형성 분류도
| 자음 제자 상형성 | 모음 제자 상형성 | ||||||
아음자 | 설음자 | 치음자 | 순음자 | 후음자 | 모음자 | 모음자 | 모음자 | |
기본형태 | ㄱ | ㄴ | ㅅ | ㅁ | ㅇ | · | ㅡ | ㅣ |
발음형태방법 |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 혀끝이 윗잇몸에 붙는 모양 | 이 사이로 공기가 마찰되어 나는 소리 | 입이 위아래 입술을 합하는 모양 | 입술과 목구멍이 열려 통과하는 모양 | 입을 연 모양 | 입을 쭈그린 모양 | 입을 별린 모양 |
'상형이자방고전' : 상형을 원리로 하고 구체적으로 문자의 형태와 그 결합방식은 '방고전'의 방법을 택함
자방고전 : 하나의 전서 → 다른 전서 방법. 20가지나 되는 다양한 방법 존재
- 병서 : 좌우로 합성한 문자
- 연서 : 상하로 합성한 문자
- 가획 및 합성
기본자 | 가획자 | 이체자 |
ㄱ | ㅋ | ㆁ |
ㄴ | ㄷㅌ | ㄹ |
ㅁ | ㅂㅍ | |
ㅅ | ㅈㅊ | ㅿ |
ㅇ | ㆆㅎ |
6. 훈민정음의 과학성
(1) 언어학적
- 창제 방식이 언어학적이다.
- 음소를 표기하는 문자이다.
- 훈민정음 자모의 배열순서가 언어학적이다.
아음 | 설음 | 순음 | 치음 | 후음 | 반설음 | 반치음 | |
ㄱㅋㆁ | ㄷㅌㄴ | ㅂㅍㅁ | ㅈㅊㅅ | ㆆㅎㅇ | ㄹ | ㅿ | |
기본자 | 초출자 | 재출자 | |||||
· ㅡ ㅣ | ㅗ ㅏ ㅜ ㅓ | ㅛ ㅑ ㅠ ㅕ |
-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만들고 문자의 변형원칙에 따라 만들었으므로 언어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 초성과 종성은 소리로서 다른 소리이지만 음소로서는 한 음소이어서 한 글자로 만들었다.
- 중국의 운학을 받아들였으나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창의적으로 변화시켰다.
- 중국의 운학에서는 운모와 운미의 이분법으로 구분한다.
- 세종의 초성, 중성, 종성으로 한 음절을 구분한 것은 현대 언어학적 관점에서 보면 매우 창의적이고 과학적이다.
훈몽자회의 범례(1527년)
초성과 종성에 다 쓰였던 글자 | ||||
ㄱ | ㄴㄷㄹ | ㅂㅁ | ㅅ | ㅇ |
아음 | 설음 | 순음 | 치음 | 후음 |
| 획순 | 획순 |
|
|
초성에만 쓰였던 글자 | ||||
ㅋ | ㅌ | ㅍ | ㅈㅊ | ㅎ |
아음 | 설음 | 순음 | 치음 | 후음 |
|
|
| 획순 |
|
현대 한글 자모의 배열순서
초성과 종성에 다 쓰였던 글자 | ||||
ㄱ | ㄴㄷㄹ | ㅁㅂ | ㅅ | ㅇ |
아음 | 설음 | 순음 | 치음 | 후음 |
| 획순 | 획순 |
|
|
초성에만 쓰였던 글자 | ||||
ㅈㅊ | ㅋ | ㅌ | ㅍ | ㅎ |
치음 | 아음 | 설음 | 순음 | 후음 |
획순 |
|
|
|
- 경구개음 : 한글의 자음을 소리나는 위치에 따라 나눌 때, 센입천장에서 나는 소리
자음 ㄱ~ㅎ 중에서 ㅈ, ㅉ, ㅊ
(2) 독창적이고 실용적이다.
- 고유어와 한자음과 외국어를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월인석보 서문 부분 vs 다라니경 부분(월인석보 권19)
- 우리말 속에 있는 3가지 요소 : 고유어, 외래어, 외국어
- 한자어는 초성, 중성, 종성을 다 갖추도록 되어있다.
- 세종은 고유어, 외래어, 외국어의 서체를 달리 표현하였다.
(3) 경제적이다.
- 선과 점과 원으로 모든 소리(11, 172자)를 표기할 수 있다.
- 모든 글자는 점과 선이 ( · , ㅣ ), 자음 글자는 선과 원이 ( ㅣ , ㅇ) 서로 결합되어 국어의 모든 소리를 표기할 수 있다.
- 점과 선과 원이라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 모든 한글을 표현함으로써 가장 간편하게 어떠한 사람이라도 쉽게 배울 수 있는 편의성을 지닌다.
(4) 구조적이다.
- 한글의 선형이나 자모의 조합이 매우 규칙족이다.
- 한글은 주로 한 글자에 한 음가를 유지하고 있다.
- 겹글자가 많지 않다.
- 자모의 명칭이 몇몇을 제외하고는 매우 단순하다.
- 각 자모가 한 음절 글자 속에서 차지하는 공간적 위치도 매우 규칙적으로 배분된다.
- 한글은 가로쓰기와 세로쓰기가 자유롭다.
(5) 철학적이다.
- 문자 창제에 철학적 사고가 밑바탕이 되었다.
- 인간과 하늘의 관계(종교관, 신관), 인간과 자연의 관계(자연관), 인간과 인간의 관계(인생관, 인간관)
- 훈민정음 창제 배경이 된 철학적 사고는 성리학적 사고이다.
(6) 정보화에 적합한 문자이다.
- 훈민정음은 정보화에 유익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①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고, 검색이 용이하다.
② 글자의 짜임새가 구조적이어서, 폰트가 수월하다.
③ 초성, 중성, 종성을 연결하는 규칙이 매우 체계적이다. (천지인 타법)
<언어문화적 측면에서 본 한글의 변화>
동양의 문자 창제
문자명 | 국가 | 창제자 | 명령자 | 만든 해 | 공포한 해 | 사용 |
거란 문자 | 요나라(거란족) | [대자]야을아보기 (요나라 태조) [소자]야을질라 (태조의 동생) | 920년 | 불명 | 1191년 | |
여진 문자 | 금나라(여진족) | 완안희우 | 아골타(금의 태조) | 1119년 | 1145년 | 16세기 말 소멸 |
파스파 문자 | 원나라(몽고족) | 파스파 <국사> | 쿠빌라이 칸(세조) | 1265년 | 1269년 | 공표 후 100여년 (원의 멸망과 함께) |
1. 명칭의 변화
한글이 오늘날까지 계속 사용된 것은 한글의 과학성, 편의성과 우리 선조들의 발전 노력이다.
(1) 훈민정음. 정음 :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2) 언문 : 중국문자와 대비되는 의미.
- 세종실록에 '시월 상친제언문이십팔자'라고 하고 있는데, 임금이 만든 글자를 언문이라고 낮추어 쓸 수 없었을 것.
-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을병연행록, 남정긔
(3) 언자 : 언문자의 약자
(4) 국문 : 1895년에 와서야 한글이 국가 문자로 인정을 받음. 법률과 명령은 다 국문으로서 본을 삼고, 한문번역을 덧붙이거나 혹은 국한문을 혼용토록 하였다. 칙령 제 89호 공문식을 재가반포, 제 1장 반포식 제9조
(5) 조선문. 선문 : 1910년 일본의 강제병합 이후 조선문으로 추락. 국문의 자리를 일본문자에게 내어주게 됨.
(6) 한글 : '한글'이란 단어가 처음 출현한 것은 1913년 3월 23일 창립한 배달말 글모음(조선 언문회)창립총회의 기록에서 나타난다. 1910년 주시경이 쓴 글의 '한나라 글'에서 비롯되었다. 최남선은 '조선광문회'에서 한글 명칭을 만들었다고 주장하였다. 주시경의 각종 서적에 '한맣''배달말''한글'이 실용된 증거가 존재한다. 따라서 한글은 주시경이 지은 것으로 보고 있다.
(7) 한글. 조선글. 고려글
2, 자모의 변화
문자 | 이름 | 음가 | 사용된 시기 | 쓰임 | 변화 |
ㅿ | 반치음. 반시옷 | [z] | 17c 말 | 여ᅀᆞ | 여수(충남, 충북, 전북 등) 여시(충남, 충북, 전북 등) |
ㅸ | 비읍 순경음. 가벼운 비읍 | [β] | 16c 초 | 치ᄫᅱ | 추위(경기, 충청 등) 추비(경남, 경북, 함북, 함남 등) 치비(경남, 경북, 함북, 함남 등) |
ㆆ | 여린 히읗 | [ʔ] | 16c 초 | 다ᇰ다이 | ‘ㅇ’으로 합류 |
ㆁ | 옛 이응 | [n] | 16c 초 |
| |
ㆍ | 아래아 | [e] | 20c 초 | ᄆᆞᆯ, 하ᄂᆞᆯ, ᄉᆞ매, ᄒᆞᆰ | 말, 하늘, 소매, 흙 믈. 하눌, 헐, 혁 |
- 언문 반절표 : 가 위 ……………………… ? 아래
3. 한글 어문 규범의 제정
의사소통의 정확성을 위해 표기법의 통일이 필요하였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 정음청 설피 이후 한글연구의 최초 국가기관이었던 조선어 학회는 1930년 12월 13일 맞춤법통일안을 제정, 총회결의, 1932년 12월 첫 원안을 작성하였다.
- 국문 연구 의정안
- 국문 연구안
- 한글 마춤법 통일안
지금까지 발견된 문헌들 중 한글로만 되어있는 최초 문헌은 18c 중기이며, 언해문이 한글 전용문으로 나타나는 시기는 15c 말이다.
<월인천강지곡> : 세종. 악장
<석보상절> : 세조
<천의소감언해> (1755)
<종덕신편언해> (758)
<구급간이방언해> (1489)
<신선태을자금단언해> (1497)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1541)
한글의 여러가지 변화의 근본적 원인 : 의사전달 및 소통의 정확성, 신속성, 문자생활의 편리성, 미적 욕구, 생략과 감정의 전달 등이 있다.
19c 말에 와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방향, 즉 가로쓰기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Corean Primer> (1877) : 최초로 가로쓰기를 한 책인 동시에 최초로 띄어쓰기를 한 책. 존 로스가 지은 '조선어 첫걸음'
<한영자전> (1897)
<국한회어> (1895) : 우리나라 사람이 쓴 책 중에 가로쓰기를 최초로 한 책. 국어대역사전
주시경 선생의 가로쓰기 주장이 독립신문 2권 115호 (1897.09.28)에 나왔다. 국한회어의 가로쓰기는 획기적인 것이다.
<용비어천가> 2장 : 단락을 나누는 구실을 하는 구두 : 0점 (가운데 - 구. 끝(오른쪽) - 절)
<자장경언해> (1765) : 나무와 종이의 엄청난 낭비를 초래하였다. 한글전용을 했을 때 일어나느 중의성을 해결하기 위해 띄어쓰기를 하였다.
19c 말 띄어쓰기가 가능했던 이유 ① 연활자의 도입 ② 양지의 수입
<독립신문의 띄어쓰기에 대한 주장>
- 한글의 자모는 창제 당시에는 'ㅇ'과 ' · '을 제외하고 모두 직선이었다. 직선은 그 자모가 쓰이는 위치에 따라 차츰 곡선으로 변화하였다.
- 점은 모두 모음글자와 연관된 것이었는데, 모두 선으로 바뀌었다.
훈민정음 해례본 모음 글자 (1446) → 한글 공부 (동아일보사. 1934)
- 원래 꼭지점이 있는 옛이응과 꼭이점이 없는 이응으로 구분되어있던 것인데, 이 두 글자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아서 옛이응은 없어지고 이응만 남게되었다.
'ㅈ' → 3획에서 2획으로
'ㄷ'의 가운데 가획한 것
'ㄷ'의 위에 'ㅡ'를 가획한 것
북한의 'ㅌ'에 한 예
모음글자 → ' · '가 점에서 선으로 바뀌었다. ' · '가 점으로 표기된 문헌으로는 훈민정음 해례본(1446)과 동국정운(1448)가 있다.
지방에서 간행된 문헌들에서는 변화가 보이고 있다. 연산군은 1504년 자신을 비방하는 한글투서사건이 일어나자 한글을 가르치지도 배우지도 말 것이며, 이미 배운 자로 쓰지 못하게 하는 이른바 '언문금압'을 발표하였다.
한글 자형의 변화는 주로 필사본에서 지방에서 간행된 문헌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훈민정음 해례본>
<홍백화전> (버클리 대학 소장본)
<전보장점> : 한글 기계화의 시초는 한글 전신부호로 처음 등장한 책이다.
<국문자모 호마타법> : 오늘날에는 'ㅔ'와 'ㅐ'의 두 굴자가 추가되었다.
<이원익의 한글타자기>
<공병우의 세벌식 한글타자기> : 1947년에 개발하였으며 가로쓰기를 하였다.
<송기주 한글타자기> : 연희전문 출신의 송기주가 1930년에 개발하였다. 언더우드 타자기 회사.
타자기는 한글 기계화의 길을 열었고, 오늘날 컴퓨터의 한글 표준자판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국제 표준화 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지적활동이나 과학, 기술, 경제 활동 분야에서 세계 상호간의 협력을 위해 1946년에 설립하였다.
우리나라에 정보화를 이끈 가장 중요한 도구는 문서작성기이다.
- 한글 1.0
- 속기 : 쓰기 쉽고 읽기 쉬우며 외우기 쉬운 점, 선, 원, 위치, 문구, 길이 등으로 구성된 문자기호
한글이 여러가지 변화를 겪은 이유
언어문화적 측면에서 ①필기도구의 변화 (붓, 펜, 볼펜, 연필 등) ② 양지의 도입 ③디지털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임용 관련 책 (0) | 2017.02.02 |
---|---|
친일 문인 (0) | 2017.02.02 |
우리나라 근대문학 작가들의 이야기를 해도 되나? 4 (0) | 2016.06.03 |
우리나라 근대문학 작가들의 이야기를 해도 되나? 3 (0) | 2016.06.03 |
우리나라 근대문학 작가들의 이야기를 해도 되나? 2 (0) | 2016.06.03 |